본문 바로가기
경제학

경제 성장 모델과 수학적 분석

by warren.c 2024. 4. 5.

수학적 분석은 언제부터 했을까요? 경제분석을 떠올리면 자연스럽게 수학적 모델을 활용한 경제분석을 생각합니다. 오늘날 당연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고전모델인 솔로 성장 모델과 내생적 성장이론에 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경제 성장 모델과 수학적 분석
경제를 수학적으로 분석하려는 시도

솔로 성장 모델

솔로 성장 모델(Solow Growth Model)은 대중에게는 솔로-스완 성장 모델(Solow-Swan Growth Model)로 알려졌습니다. 1956년에 로버트 솔로(Robert Solow)에 의해 논의가 시작된 경제 수학모델이었습니다. 경제 성장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수학적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솔로 성장 모델은 경제학에서 장기 성장을 설명하는 데 기본적인 틀로 사용되며, 자본 축적, 노동 인구의 증가, 그리고 기술 진보가 경제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합니다. 그 당시에는 수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새로운 시도였기에 학술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솔로 모델의 핵심 요소

솔로 모델에서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습니다.

첫 번째, 자본 축적요소입니다. 솔로 모델에서 자본(K)은 물리적 자본(예: 기계, 건물)을 의미하며, 이는 생산의 중요한 입력 요소입니다. 자본 축적은 투자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 중 하나로 간주됩니다.

두 번째, 노동 인구 증가요소입니다. 모델은 노동(L)을 또 다른 중요한 생산 요소로 봅니다. 인구 증가율은 노동 인구의 증가를 의미하며, 이는 성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세 번째, 기술 진보요소입니다. 솔로 모델은 기술 진보(A)를 경제 성장의 중요한 요소로 포함합니다. 기술 진보는 생산성을 향상하고, 같은 양의 자본과 노동으로 더 많은 생산물을 생성할 수 있게 합니다.

성장의 결정적 요인

솔로 모델의 핵심 결과 중 하나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이 주로 기술 진보에 의해 주도된다는 것입니다. 자본 축적과 노동 인구의 증가는 초기 성장 단계에서 중요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기술 진보가 성장의 주된 원천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았습니다. 경제적 발전은 기술적인 진보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던 것입니다. 오늘날 눈부신 기술 발전을 생각해 보았을 때 솔로 모델이 옳다는 것을 어느 정도 동의할 수 있습니다.

솔로 모델 생산함수

솔로 모델은 생산 함수를 사용하여 경제의 총 생산량(Y)이 자본(K), 노동(L), 그리고 기술 수준(A)의 함수로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설명합니다. 자본의 탄력성을 나타내며,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게 됩니다.

솔로 모델은 경제 성장 이론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했습니다. 솔로 모델은 경제 성장이 단순히 물리적 자본의 축적이나 인구 증가에 의해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고 봅니다. 단순히 인구가 많은 것보다 기술 진보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솔로 모델은 경제 성장을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던졌습니다. 솔로 모델을 통해 경제학자들은 다양한 수학적 경제 모델을 사용해서 정책 설계하고 장기적인 경제적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내생적 성장이론

내생적 성장 이론(Endogenous Growth Theory)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발전한 경제 성장 이론입니다. 기존의 솔로 모델과 같은 외생적 성장 모델이 설명하지 못했던 부분을 설명하고자 했습니다. 경제 성장 과정에서 기술 진보가 어떻게 내생적으로 발생하는지를 분석합니다. 내생적 성장 이론은 경제 성장이 단순히 외부에서 주어진 기술 진보에 의해 주도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기에 솔로 모델을 조금 더 고도화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술발전도 중요하지만 경제 시스템 내부의 요소들인 사회 구성원의 자본축적, 혁신 활동, 지식의 확산 등에 의해 더 빠르게 경제성장이 가속화된다고 보았습니다.

내생적 성장 이론의 핵심 개념

내생적 기술 진보 성장 이론은 기술 진보가 경제 내부의 결정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고 봅니다. 연구개발 투자, 교육 및 학습을 통한 인간 자본의 축적, 기업가 정신과 같은 요소들이 기술 진보를 촉진하여 경제를 발전시킨다는 이론입니다. 오늘날에는 당연하게 여기는 부분이 이때 처음 등장한 것입니다.

특히나 인간 자본의 역할을 중요하게 봅니다. 이 이론은 인간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교육과 올바른 투자가 경제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봅니다. 인간 자본의 축적은 노동생산성을 향상하고 성장률을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자원이 없고 인구가 많이 있었던 우리나라의 과거 경제발전사를 떠올리게 합니다.

솔로모델처럼 규모의 경제를 논의하기도 했습니다. 내생적 성장 이론은 지식의 비배제성과 비경합성 특성 때문에 경제에서 규모의 경제가 존재한다고 보았습니다. 장기적인 성장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수학적 분석

내생적 성장 이론은 미분방정식과 변하는 경제 변숫값을 활용하여 이론을 구성합니다. 경제 성장 과정을 더 정교하게 수학적으로 모델링합니다. 이러한 모델은 경제 내부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동태적 상호작용을 포착하고 분석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 자본의 축적이나 연구개발 활동이 경제 성장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던 시도가 인상 깊습니다.

내생적 성장 이론의 중요성

내생적 성장 이론은 경제 성장의 내부적 원인을 탐구함으로써 경제 정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했습니다. 예를 들어, 내생적 성장 이론은 교육과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합니다. 내생적 성장 이론은 경제 성장률이 다른 국가들 간에 왜 차이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떻게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내생적 성장 이론은 경제학에서 여전히 활발히 연구되는 분야입니다.